최근 부동산 하락장세가 ‘대세 하락’의 시작인지, 잠깐의 조정 국면인지를 두고 시장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장기 하락을 점치는 쪽에서는 과거 1998년 외환위기나 2008년 금융위기 때처럼, 경기 부진과 맞물린 집값 하락이 수년간 이어질 거라고 주장한다. 온라인 부동산 커뮤니티 등에서는 ‘40% 폭락설’까지 나오며 상승·하락론자들의 설전이 뜨겁다.
대세 하락을 단언하기엔 이르다는 반론도 나온다. 거래량이 쪼그라든 가운데 일부 저가 급매물이 팔리는 현 상황이 ‘전반적인 시세 하락’은 아니라는 논리다. 재개발 등 일부 상품에 여전히 몰리는 투자수요와 높은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금 비율) 등 매매가를 떠받치는 요인도 여전하다.
시장 둔화는 한동안 계속될 가능성이 높지만, 집값을 자극할 만한 ‘잔불’은 곳곳에 남아있다는 게 전문가와 정부 당국의 중론이다. <한겨레>가 주택시장의 현주소를 짚었다.
광고
‘급등’ 피로감 뒤 꺾인 집값
현재 주택시장이 하강국면이라는 데는 이견이 드물다. 역대 최저 수준으로 줄어든 매매거래량과 시세 반락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거래현황을 보면, 올 1∼7월 서울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1만959건으로 시장 활황기였던 2020년(6만4300건)과 지난해(3만4045건)에 비해 각각 6분의1, 3분의1 정도로 줄었다. 관련 통계가 처음 집계된 지난 2006년 이후 1∼7월 기준 가장 적은 숫자다.
특히 실수요 비중이 높은 30∼50대의 주택 구입 비중이 줄어든 점을 시장은 주목한다. 1∼7월 서울 아파트 구매자 중 이 연령대 비율은 69.1%로 지난해 같은 기간(78.6%)보다 9.5%포인트 줄었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실장은 “증여 등의 목적으로 집을 사는 비중이 높은 60대 이상이나 증여·상속받은 자금으로 매입하는 경우가 많은 20대와 달리, ‘3050’은 실제 살 집을 근로소득 위주로 사들인다”며 “이 계층의 비중 감소는 실수요자들의 매수 심리가 꺾였다는 뜻”이라고 짚었다.
매매시세는 수개월째 하락세다. 한국감정원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올 들어 9월 셋째주까지 1.4% 내렸다. 9월 셋째주 내림폭(-0.19%)은 관련 통계가 처음 집계된 2012년 이후 주간 기준 10년여 만에 최대였다.
시장 일각에서는 지금의 하락장이 미국발 금융위기 등 과거 경제위기 때와 비슷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수년의 급등 뒤 집값이 꺾였다는 게 대표적인 유사점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지수는 월간 기준 2005년 11월부터 2008년 9월까지 35개월 연속 올랐다. 이 기간 상승률이 46.4%에 달했다. 반면 뒤이은 약 5년간의 하락기(2008년 10월∼2013년 8월)에는 지수가 11.1% 빠졌다. ‘버블 세븐’으로 불리던 서울 강남구와 경기 성남시 분당구는 같은 기간 각각 16.6%, 20.3% 떨어지는 등, 활황기에 많이 오른 지역일수록 하락도 가팔랐다. 최근 하락세 역시 5년여의 급등에 이어 시작됐다. 서울·경기 매매지수는 2017∼2021년 27.2%, 41.6%씩 뛴 바 있다.
집값 하락 전 대출 금리가 가파르게 오른 점도 두 시기 공통점이다. 한국은행 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2006년 12월 연 5.88%에서 2007년 12월 6.85%, 2008년 10월 7.58% 등으로 올랐다. 최근에도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주담대 금리가 지난해 7월(2.81%)∼올 7월(4.16%) 1년 새 1.35%포인트 뛴 상태다. 대출 없이 매수가 힘들 만큼 집값이 올랐는데 금리마저 급등해, 수요자들이 매수를 포기하는 상황이다.
강남·서초는 지금도 ‘신고가’
전체적인 냉각 분위기지만 지역에 따른 온도차는 크다. 서울 강남·서초구 등 이른바 ‘상급 입지’에서는 대부분의 집주인이 활황기 때 호가를 유지하며 버티기 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지수가 올 1월 보합 전환 이후 지난달까지 내리 내린 것과 달리, 강남·서초구는 각각 7월과 지난달에야 하락 전환했다. 이후 하락폭 역시 각각 0.2%, 0.1%에 그쳐, 이전 5년여 ‘불장’ 때의 상승분에 비하면 미미하다.
여전히 ‘신고가’를 경신하는 단지도 있다. 강남구 청담동 ‘청담자이’ 전용면적 89㎡는 지난 8일 36억5000만원에 매매돼 지난해 12월의 기존 고점(36억2500만원)을 넘어섰다. 경기 성남시 판교신도시의 ‘판교알파리움’ 역시 7월 전용 129㎡가 25억2500만원에 계약돼 신고가를 썼다.
이들 지역에서는 최근 집주인들이 매물을 오히려 회수하는 추세다. 빅데이터회사 ‘아실’에 따르면, 서초구 아파트 매물은 지난 6월10일 4555개로 올해 정점을 찍은 뒤 이달 23일 3736개로 18.0% 줄었다. 잠원(-34.9%)·서초(-20.5%)동 등 고가주택 밀집 지역의 매물 감소가 뚜렷했다. 김덕례 실장은 “다주택자의 종합부동산세 부담 완화 방침 등이 나온 6월을 기점으로 매물이 회수된 것으로 풀이된다”고 짚었다.
아파트 이외 주택들의 몸값은 오름세다. 서울 단독주택의 경우 올 들어서도 매매지수가 매달 상승해 총 2.3% 올랐다. 용산구 한남동 등 대규모 재개발지구가 많은 도심권(용산·종로·중구) 상승률이 2.5%로 강남4구(강남·강동·서초·송파구, 2.1%)를 웃돌았다. 아파트 재건축에 비해 전매제한 규제 등이 헐거운 재개발에는 투자수요가 여전히 살아있다는 게 부동산업계의 설명이다.
이는 수도권 모든 지역이 ‘일제 폭락’하던 과거 하락기와는 다른 모습이다. 2008년 하강기 때는 서울 평균 아파트값이 하락 전환한 지 2개월 만인 그해 12월, 25개 자치구 매매지수가 모두 내렸다. 단독주택과 연립·다세대 역시 아파트에 이어 그해 11월 하락이 시작됐다.
높은 전세가율 등 시장 ‘불씨’ 여전
이번 하락기에는 비강남권 아파트 역시 과거 폭락장 만큼 크게 내리지 않을 거라는 예상이 나온다. 높은 전세가율 때문이다. 수년간 이어진 전세난의 여파로 수도권의 전세금은 매매시세의 절반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다. 케이비(KB)국민은행 통계를 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율은 54.7%, 경기는 65.5%였다. 지난 2008년 10월에는 서울·경기 각각 38.9%, 42.3%에 그쳤다.
높은 전세가율은 매매가의 ‘버팀목’으로 작용한다. 전세금과 매매가 격차가 좁으면 기존 세입자가 매매로 갈아타기가 쉬운데다, 전세 끼고 집 사는 갭투자에도 유리하다. 기존에 갭투자로 매입했던 집주인들이 하락기에 매물을 ‘던질’ 유인 역시 줄어든다.
전세가율은 급격히 꺼지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향후 수도권의 신축 아파트 공급이 크게 줄어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임대아파트 포함)은 지난해 3만3405채에서 내년 2만3975채, 2024년 1만2043채 등으로 감소할 예정이다. 이런 변수들 탓에 정책 당국도 최근 집값 흐름을 완연한 ‘안정세’로 단언하지 않는 분위기다. 권혁진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은 21일 언론 브리핑에서 “수도권 주택 가격은 최근까지 강하게 상승했다. 여전히 떨어질 여력(여지)이 충분하다”며 “현재 주택시장의 상황이 ‘경착륙’ 단계는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규제완화 등을 통해 인위적으로 부동산 경기를 부양해야 할 만큼 시장이 꺾이지는 않았다는 얘기다.
최민섭 서울벤처대학원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거래량이 크게 줄어든 상태에서 일부 계약된 급매물만을 근거로 ‘집값이 폭락기에 접어들었다’고 단언하기는 무리”라며 “향후 금리 인상폭 등에 따라 하락세가 얼마큼 뚜렷해질지 정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